- 지나갔으므로 2014/1/1 발생한 수당권도 이미 소멸했고요, 2015/1/1 발생 수당권, 2016/1/1 발생 수당권, 2017/1/1 발생 수당권과 2017 중도퇴직시 퇴직으로 인해 미사용한 연차의 수당권만 남게 되는 것입니다. 
- 31.까지 근무한 경우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은 언제까지 지급해야 하나요?(연차휴가미사용수당의 소멸시효) A. 유급(연차휴가수당)으로 연차휴가를 사용할 권리는 근로자가 1년간 소정의 근로를 마친... 
- 따라 연차유급휴가청구권이 발생 . 연차유급휴가근로수당청구권- 근로자가 연차유급휴가를 사용하지... - 퇴직후에 발생한 연차일수는 소멸시효가 완성이 되지 않은 50(19+31)개가 됩니다. 따라서 근로자가... 
-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다음의 사유로 인하여 중단 ① 청구(재판상 청구, 파산절차참가, 지급명령, 화해를 위한 소환, 임의출석 및 최고 포함) ② 압류 또는 가압류, 가처분 ③ 승인 휴업수당 - 사용자의... 
- 
								
	 
- 질문자의 경우 1)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은 임금채권에 해당하여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되고, 소멸시효 기산점은 연차휴가청구권이 발생한때로부터 1년의 행사기간이 경과한 다음날이 됩니다. 2) 따라서 위... 
- ... 2014.4.29에 발생한 15개의 연차휴가에 대한 수당은 이미 3년이 도과하여 소멸하였고, 2015.4.29에 발생한 15개의 연차휴가에 대한 수당은 아직 소멸되지 않았습니다. 15개분에 대해서는 수당으로 요구 가능합니다. 연차수당은... 
- 연차휴가와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의 소멸시효에 대하여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경영상담 전문위원 노무사 최인기 입니다. 연차유급휴가는 휴가가 발생한 날로부터 1년간 사용하지 아니하면 소멸하나 휴가를 사용하지... 
- ... 퇴사시에 연차에 대해 몰랐다가 2018.10.10일자에 회사에 연차수당을 소급해서 달라고 청구하였습니다. 3년이 경과한 연차는 소멸한다고 하는데 그럼 연차를 몇개에 대해 지급받을 수 있을가요? 답변 주시면... 
- ... 연차수당 소멸시효가 3년이라고 알고있는데..그 기준일이 퇴사일 기준인지? 아니면 연차발생일 기준인지? 2012.04.01~2013.03.31 15개발생-2016.12.31 소멸 2013.04.01~2014.03.31 15개발생-2017.12.31까지 청구가능... 
- 연차휴가미사용수당 소멸시효의 기산점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십니까? 경영상담 전문위원 놈누사 강진철 입니다. 연차휴가미사용수당은 임금채권에 해당하여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되며 소멸시효의 기산점은... 
- 여기저기 알아보니 저처럼 일하는 사람도 주휴수당이나 연차수당을 받을 수 있다고 들었습니다.... 임금채권의 소멸시효는 3년이지만 임금체불 범죄행위에 대한 공소시효는 5년이기 때문에 임금채권 소멸시효가... 
- 포괄임금제란, 포괄임금과 별도로 지급하여야 하는 연차·월차 수당 등의 시간 외 근무에 대한 수당을 급여에... 초과근로수당을 근로자에게 지급해야 하는 원칙도 정했다고 밝혔다. 임금채권 소멸시효인 3년을 고려한... 
- 임금채권은 민법상 단기 채권으로, 소멸시효가 3년이다. 따라서 아무리 오래 재직하였어도 청구 가능한... 회사 수당이 복잡하여 계산이 번잡하면, 연장ㆍ야간ㆍ휴일ㆍ연차 수당을 제외한 모든 수당을 합하여 209로 나누면... 
- (임금의 시효) 이 법에 따른 임금채권은 3년간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소멸한다. 해설>> 1. 내용 : 임금의... 연차휴가근로수당 (연차휴가 불실시가 확정된 날?)  4) 퇴직금 (퇴직일) 근로기준법 49조에 체불 임금 시효를... 
- 토요일에 쉬어도 연차에서 공제하는데 법적으로 하자가 없는지요? 토요일 근무에 별도의 수당은 없습니다’... 주휴수당이나 이런 부분이 받을 수 있는 부분이라면 설령 그전이라 하더라도 임금채권의 소멸시효기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