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가 FTA교육을 좀 받아서 원산지결정기준이 뭔지는 알겠는데, 우리회사 물품 원산지결정기준은 뭔데?" 바로 찾아오셨다. 오늘은 품목별 원산지결정기준(PSR, Product Specific Rules)에 대하여 포스팅 하도록... 
- QNA FTA C/O의 WO, PE, PSR에 대한 이해 무역일반담당 무역 > FTA 조회 15 2019-02-07 18:53 0 추천해요 < 질문 > 다음은 한미 FTA C/O 와 한중 FTA C/O 양식의 일부 내용입니다 . 한미 FTA C/O... 
- 오늘은 섬유제품의 원산지판정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FTA원산지기준(PSR) 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을 드려보고자 합니다. 섬유제품은 통상적으로 아래와 같은 Process에 따라 만들어 진답니다.... 
- HS 2012 도입에 따른 FTA 품목별원산지결정기준(PSR) 운용 기준 알림<input style="BORDER-RIGHT-WIDTH: 0px; BORDER-TOP-WIDTH: 0px; BORDER-BOTTOM-WIDTH: 0px; BORDER-LEFT-WIDTH: 0px" id="ctl00_ContentPlaceHolder1_btn... 
- 
								
	 
- [FTA의이해] TOPIC14 불완전생산물품의 원산지결정기준, 부가가치비율,RVC40,PSR 각 각의 FTA 협정은 2개국 이상에 걸쳐 생산•가공•제조된 물품(불완전생산물품)에 대하여 본질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충분한... 
- ... WP, PSR 에 대해 쉽게 설명부탁드립니다. 인터넷에 찾아보니 하기와 같은 설명은 확인하였으나 표현이 어려워... ● 중국 무역 및 수출입 통관 전문(관세·무역·FTA 무료상담) - Tel. 02-6373-4666 - E-mail. ***@*******.*** - Kakao. http://pf.... 
- PSR 원산지 결정기준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코참경영상담센터 전문위원 이필민 입니다. 한미FTA협정중 원산지 결정기준의 품목별원산지결정기준을 의미하는 것으로 PRODUCT SPECIFIC RULE의 약자입니다.... 
- 한미FTA 협정에서 원산지 결정기준으로 PSR이 있는 데 이것의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코참경영상담센터 전문위원 이필민입니다. 1. 한미 FTA 협정문상 원산지 결정기준에서 PSR 의 의미는 품목별 원산지 결정... 
- ... PSR이란 FTA관련 원산지 결정 기준의 하나로서 PRODUCT SPECIFIC RULE의 약자로서 해당 HS의 결정기준에 제시된 기준을 말합니다. 즉, 해당HSK마다 2단위, 4단위, 6단위 세번변경 이라든가 RVC 몇%등이 기준으로 열거 되어 있는바... 
- ... 한중FTA 원산지증명서상에 WP 와 PSR 로 원산지결정기준이 기재되어오는경우 WP:원산지 규정 및 원산지 이행 절차에 부합하는 재료로만 전적으로 당사국에서 생산된 물품 PSR:품목별 원산지 요건에 부합하는 비원산지 재료를... 
- 플렉시블 튜브의 원산지결정기준은 품목별기준(PSR, Product Specific Rules)이며, FTA별로 세부적인 차이가 있다. 인도와 아세안(베트남)의 경우 ‘수출당사국의 영역에서 완전생산된 것’ 또는 ‘다른 소호에 해당하는... 
- 전동드라이버는 FTA 협정별로 세부적인 내용의 차이가 있으나 큰 틀로 놓고 봤을 때 ‘품목별 기준(PSR, Product Specific Rules)’으로 규정했다. 품목별 기준은 협정별 또는 물품별(HS코드 6단위 기준)로 상이하게 규정되어... 
- 담당자에 FTA 전문교육을 받도록 안내했다. 또 BOM(수출물품 1단위 생산에 소요되는 원·부자재 명세서) 작성·검토, HS CODE(품목분류번호) 검토, 원산지결정기준(PSR)도 설명했다. 아울러 원산지소명자료 작성을 도왔다.... 
- 원산지기준도 기존 한·아세안 FTA보다 기업 친화적인 방향으로 개선했다. 품목별 원산지기준(PSR)을 단순화하고 순차적 자율증명을 도입하는 식이다. 또한 양국은 자동차, 에너지, 문화, 인프라,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서... 
- 원산지기준도 기존 한·아세안 FTA보다 기업 친화적인 방향으로 개선했다. 품목별 원산지기준(PSR)을 단순화하고 순차적 자율증명을 도입하는 식이다. 또한 양국은 자동차, 에너지, 문화, 인프라, 보건 등 다양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