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췌장흡충은 보통 소, 돼지, 양 같은 가축의 췌장에 기생하는 기생충이다. 우리가 육류 특히 생간이나 육회 등을 먹다 보면 소화기를 통해 체내에 들어오게 된다. 이 췌장흡충이 췌장에서 살며 베타세포를...
소장 근처의 혈액에 기생하는 주혈흡충은 한번에 3000여개의 알을 낳고 그 알들은 혈액을 타고 간(肝)으로 오게 된다. 주혈흡충의 알은 크고 가시가 있어서 간에서 죽일 수가 없다. 간에서 해독할 수 없는...
한문의 뜻; 주혈흡충에 의한 이질. 주혈흡충은 장내에 기생하여 빈혈이나 피오줌병을 일으킨다고 한다. 이것이 창자를 침범하여 이질 증상을 일으킨다고 한다. ◈주혈흡충성이질(住血吸蟲性痢疾)...
피부흡충으로 보이는 놈들이 붙어있다. 두마리 모두 몸을 비비고 털어내는 행동을 보이길래 혹시나 해서 사두었던 마소텐을 정량 물에 바로 탔는데. 원안의 하얀 먼지같은게 흡충. 육안으로도 쉽게 보일만큼 큰...
-
사진 출처 - 바이엘 동물약품 아가미 흡충은 현미경을 통해서만 볼 수 있으므로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아가미흡충병은 고기를 키우는 과정에서 평생 한번도 오지 않는 경우가 더 많을 정도로 드문 병에...
구피가 아가미 흡충에 걸린 증상을 보이는데 약을 넣어주면 나았다 안나았다 해요 그래도 흡충이 맞는걸까요? 지금 물잡이중이라 수질때문은 아닐련지.. 혹시 흡충이 맞다치면 흡충 치료후 어항을 싹 다 소독해야 하나요? 흡충이 물고기...
흡충류랑 조충류를 비교하는 표를 봤는데용 흡충류는 흡착기관이 발달된 반면에 조충류는 흡착기관이 덜... 여기서 흡충류의 흡착기관이 무엇을 뜻하나요? 혹시 만손주혈흡충과 방광주혈흡충에있는 소극을 뜻하는건가요??...
혹시 의학용어 distoma 분절하실줄 아는분 계실까요ㅠㅠㅠㅠ 단어 분절과 각각의 해석 부탁드릴게요ㅠㅠㅠㅠ 끝이 oma로 끝나서 헷갈리신 것 같은데 distoma는 흡충이라는 뜻으로 그 자체로 한 단어 입니다
... 난치의 사상충병(휘다리아병, 트리빠노쪼마병, 일본주혈흡충병) 라. 중증인 고혈압(확장기혈압 115mmHg이상인 자) 마. 유효적절한 치료를 받지 아니한 법정전염병으로서 전염성이 없어지지 아니한 자 2. 비, 구강, 인후기관계통 가....
... 난치의 사상충병(휘다리아병, 트리빠노쪼마병, 일본주혈흡충병) 라. 중증인 고혈압(확장기혈압 115mmHg이상인 자) 마. 유효적절한 치료를 받지 아니한 법정전염병으로서 전염성이 없어지지 아니한 자 2. 비, 구강, 인후기관계통...
이기적 유전자, 창형흡충이라고 있어요. 벌레인 창협흡충은 소나 양의 위장에서 살 수 있어요. 그런데 스스로 이동해 동물의 위장으로 갈 수 없죠. 그래서 양이 자기를 먹게 하려고 개미를 매개 숙주로...
불과 수십 년 전만 해도 장내 기생충(선충, 촌충, 흡충 등)은 아주 흔했다. 아마도 최소 1만 년 이상 인간과 동거해온 것으로 보인다. 정말 오랜 친구다. 다발성 경화증이 흔한 지역에는 기생충이 별로 없다. 특히 편충...
대개 암수한몸으로 변태를 하며 위창자관이 퇴화한 점이 흡충류(吸蟲類)와 다르다. ≒촌충강. (Cestoda)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 백충이란 단어를 국립국어원 웹사이트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찾아보았다. 한바탕...
녀석의 이름은 창형흡충. 다시 말해 기생충이다. 녀석의 손아귀에 들어간 개미는 로봇이 되어 시키는 대로 한다. 근데 왜 하필 해질녘 풀잎 끝일까? 개미 뇌 속에 있는 녀석은 소나 양에게 먹혀야 고향인 소나 양의 간으로 갈...
녀석의 이름은 창형흡충. 다시 말해 기생충이다. 녀석의 손아귀에 들어간 개미는 로봇이 되어 시키는 대로 한다. 근데 왜 하필 해질녘 풀잎 끝일까? 개미 뇌 속에 있는 녀석은 소나 양에게 먹혀야 고향인 소나 양의 간으로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