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고학생부군 신위]는 돌아가신 부친의 제사나 차례에 쓰는 위패로 할아버지 제사는 [현조고학생부군 신위] 증조할아버지의 경우는 [현증조고학생부군 신위] 고조할아버지의 경우에는 [현고조고학생부군... 
- 예를 들어 아버지를 기리는 제사나 차례를 지낼 경우 우리가 한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된다. #추석차례상 #현고학생부군신위 #지방쓰는법 
- '顯考學生府君 神位(현고학생부군 신위)'에서 '顯考(현고)'는 '돌아가신 부친에 대한 경칭'입니다.... '현조고학생부군신위', '현비유인(청주한)씨신위' <고조부모 지방> 지방을 쓸 때에는 고인과 제주와의 관계를... 
- 현고학생부군신위란:현고학생부군신위는 설 명절이나 추석때 차례를 지내며 쓰게되는 지방에 쓰는 말로써 현고는 제사 주체와의 관계 학생은 고인의 직위 부군은 남자 신위는 고인의 자리를 나타내는... 
- 
								
	 
-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가 무슨 뜻이 예요? 농월 20 11.02.03 현고학생부군신위... 그러므로 *현고(顯考)-죽은 아버지(남자)의 혼령이 제삿날에 거룩하게 나타나심을 뜻한다. *현비(顯妣)-죽은 어머니... 
- 고인과 제주의 관계 아버지는 '고(考)', 어머니는 '비(妣)', 조부모는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는 '증조고(曾祖考)', '증조비(曾祖妣)'라 하여 앞에 현(顯)을 써서 '顯考(현고), 顯妣(현비), 顯祖考(현조고)... 
- 아버지 제사라서 현고학생부군신위 지방 규격에 맞춰 인쇄할수있는게 필요한데요ㅜㅜ 예전에 뽑았던게 다썻나봐요 도와주세요 < 아버님 지방 > 顯考學生府君 神位 ( 현고학생부군 신위 ) * 본래 지방은 백지에 붓으로 쓰는 것입니다.... 
- 제사 지방에서 어디는 현고학생부군신위, 또 어디는 현조고학생부군신위라고 하는데 이 둘의 차이가 있는건가요? 궁금합니다. 현고학생부군신위 는 돌아가신 아버지 제사에쓰는 문구 입니다. 고= 돌아가신, 학생=벼슬이 없는 일반인 부군... 
- 현고학생부군신위 라고 쓰잖아요~ 그런데요.. 이때.. "학생" 대신. 쓸수 있는것이 있다고 하던데.. 그래서 학생 대신에.. 그것을 써서.. 제사를 지낸다고 하더군요.. 전에 한번 들었는데 먼지 기억이 안나서요.. 혹시 아시는분 있으면.. 쫌... 
- ... 근래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와 같이 쓰는 것이 관습처럼 되어서 이를 마치 지방 문안의 표준인 것처럼 여겨 관직을 지낸 사람이건 아니건 이렇게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풍습이라 할 수 있다. ㅇ... 
- 답변 좀 부탁드려요 학생부군신위 (1996) 한국 / 1996.03.01 / 드라마 / 119분 감독 : 박철수 출연 : 최성, 문정숙, 권성덕, 정하현, 주진모 모든 출연진 보기 국내 등급 : 15세 관람가 최성, 문정숙, 권성덕, 정하현, 주진모, 방은진 박재황, 김일우... 
- 현고학생부군신위 현비유인진주강씨신위 입니다 알려주세요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지방쓰는거좀 알려주세요 한자로 쓰려고 하는데요 현고학생부군신위 현비유인진주강씨신위 입니다 알려주세요 답변 : 부모님의... 
- 즉 남자의 지방은 ▲고조부는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顯高祖考學生府君 神位) ▲증조부는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顯曾祖考學生府君 神位) ▲조부는 현조고학생부군신위(顯祖考學生府君 神位) ▲부는 현고학생부군신위... 
- 이 때는 '어머님 신위', '아버님 신위' 등으로 간단하게 쓸 수도 있고 한자의 우리말 표기만 써서 '현고학생부군신위'와 같이 쓰기도 한다. 이는 부모의 제를 지낼 때 지방에 쓰는 문구다. '현고학생부군신위'의 경우 현고는... 
- 예를 들어 아버지를 기리는 제사나 차례를 지낼 경우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라고 쓰면 된다.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이므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하는 게 관례다. 
- 현고학생부군신위라는 아버지 제사 지방쓰는 법을 살펴보면, 아버지는 '고' 어머니는 '비' 조부는 '조고' 조모는 '조비' 증조부는 '증조고' 증조모는 '증조비'라 하여 앞에 현을 붙이게 된다. 남편은 '현벽'으로 써주면 되는... 
- 대상이 제주의 아버지라면 지방에 '顯考學生府君神位(현고학생부군신위)'라고 쓰는데 이때 顯(현)은 존경의 의미를 지니며 考(고)는 고인이 제주의 아버지임을 의미한다. 
- 고조모는 '顯高祖妣(현고조비)'라 쓴다. 또 고인이 제주의 남편이라면 임금 '辟(벽)'을 넣어 '顯辟學生府君神位(현벽학생부군신위)'라 적는다. 남편은 존경의 의미인 '顯(현)'과 남편을 의미하는 '辟(벽)'을 적어 '顯辟(현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