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토정비결을 쓴 이지함 -이지함에게 배우는 역학과 지인지감 이지함이 살았던 1517년에서 1578년의... 1.토정 이지함 점복은 미지의 불안에서 벗어나려는 것이며 인생이 외부의 초월적인 힘에 결정된다는 운명론에... 
- 토정비결로 유명한 이지함 선생은 그시대의 복지가로도 유명하다. 큰 물난리도 예언을 했을정도로 조선시대에 이름을 날리신분 현시대에도 연말연시만 되어도 토정비결의 관심도가 높아지니 사후엔 바위로... 
- 바로 <토정비결> 토정 이지함이 살았던 시기는 16세기인 반면, 토정비결이 유행했던 시기는 19세기 후반이다. 또한 <토정유고>를 비롯하여 조선후기 세시풍속등을 다루는 <경도잡지>, <동국세시기> 에는 토정비결에... 
- 1988년에 이지함 선생의 영정을 봉안, 이지함( 李之菡) 조선 중기의 학자로 토정비결의 저자로 알려져 있다. 1517(중종 12) ~ 1578(선조 11) 본관은 한산(현 서천), 호는 토정, 수산. 목은 이색의 7세손. 어려서... 
- 
								
	 
- 뒤에 '비결'이란 단어가 들어가면 드디어 완전체가 된다. 우리가 정초에 운세를 볼 때 흔히 쓰이는 '토정비결'의 그 토정이다. 토정비결의 저자가 토정 이지함이 아닐 것이라는 의견이 많고, 단독으로 집필하지... 
- 2019년 토정비결 부탁드립니다 1979.01.30 평달음력 05:10경 남성 1:1 답변입니다 ---------------------- 개인정보등의 이유로... ↗ < 토정> 이지함의 도참서를 기반으로 봐야합니다. (오직 정통사주만을 봄으로 아마도 적중률이 뛰어날겁니다.) 다음... 
- ... 《토정비결》은 이지함이 의학과 복서에 밝다는 소문이 퍼져 사람들이 찾아와 1년의 신수를 보아 달라는 요구로 지은 책으로, 이지함과는 관계없이 그의 이름을 가탁한 책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지함은 주자성리학만을 고집하지... 
- ... 《토정비결》은 이지함이 의학과 복서에 밝다는 소문이 퍼져 사람들이 찾아와 1년의 신수를 보아달라는 요구로 지은 책으로, 이지함과는 관계없이 그의 이름을 가탁한 책이라는 주장이 우세하다. 성리학만을 고집하지 않는 사상적... 
- ... 《토정비결》은 이지함이 의학과 복서에 밝다는 소문이 퍼져 사람들이 찾아와 1년의 신수를 보아 달라는 요구로 지은 책으로, 이지함과는 관계없이 그의 이름을 가탁한 책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지함은 주자성리학만을 고집하지 않는... 
- ... 《토정비결》은 이지함이 의학과 복서에 밝다는 소문이 퍼져 사람들이 찾아와 1년의 신수를 보아 달라는 요구로 지은 책으로, 이지함과는 관계없이 그의 이름을 가탁한 책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지함은 주자성리학만을 고집하지... 
- 근자에 잘 알려진 박도사(박재현) 제산 선생의 실전 감정집과 중국 최고의 관상(觀相)가이자 명리학자였던 위천리선생의 고고집, 현존하는 최고의 비결인 월영도(토정 이지함으로 추정)의 실전풀이 전집에 간간히 성명학과... 
- 남명 조식이나 서경덕, 토정비결의 이지함 등이 그를 찾아올 정도로 학문과 인격을 갖추었지만, 그는 거문고를 타다가도 남이 칭찬하며 청하면 그만두었을 정도로 자신을 내세우는 것을 삼갔다고 한다. 속리산을 특히... 
- ‘토정비결’로 이름난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기인 토정 이지함이다. 이지함은 보령에서 났지만, 아산과도 인연이 있다. 의학, 천문, 지리, 술서 등에 능했던 이지함은 주민들의 추천으로 조정에 천거돼 환갑을 넘긴... 
- 표정훈 '대한민국이 읽은 책' 민주화가 본격화된 1990년대를 열어젖힌 베스트셀러는 ‘소설 동의보감’ ‘소설 토정비결’ ‘소설 목민심서’ 같은 역사소설이었다. 이 소설들이 다루는 인물인 허준, 이지함, 정약용은... 
- <토정비결>의 저자 이지함은 노인성을 보기 위해 제주도를 세 번이나 찾았다는 기록이 <연려실기술>에 기록돼 있다. 또한 1425년 세종대왕은 윤사웅에게 한라산에 가서 노인성을 관측하라고 명을 내렸다. 겨울철 별자리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