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kimurakaera?Redirect=Log&logNo=221803304772
100년 뒤 1820년 전후에는 아시아에서부터 중동, 유럽, 아프리카까지 '콜레라'가 만연했다. 1920년 전후에는 전 세계 5000만~1억 명이 사망한 '스페인독감'이 기승을 부렸다. 감염자는 5억 명으로, 당시...
https://blog.naver.com/isomis?Redirect=Log&logNo=221927953066
콜레라는 인도의 풍토병이었다가 1817년 콜카타에서 발병해 전세계를 휩쓸었다. 콜카타에 주둔하던 영국 군인 5000명이 1주일 만에 몰살을 당했다. 1819년 유럽, 1820년 중국에 상륙했다. 이것이 한 해 뒤인 1821년...
https://rayspace.tistory.com/1268
1860년까지 인도 대륙에서 콜레라로 인한 추정 사망자는 1500만명에 달한다. 1820년대엔 동아시아로 번졌는데 한국도 예외가 아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150만명 이상의 백성이 콜레라로 사망했다....
https://blog.naver.com/felix47?Redirect=Log&logNo=221903407210
각지의 지방관들이 올린 장계의 내용이나 당대 서적의 내용을 읽어보았을 때, 1820년대에 콜레라가 조선 사회에 어마어마한 피해를 미쳤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장계의 내용이 지방관이 파악한 인명만을...
-
https://www.betulo.co.kr/2936
콜카타에 있던 영국 군인 5000명을 1주일 만에 몰살시킨 콜레라는 1819년에 유럽, 1820년에는 중국에 상륙했다. 콜레라가 상륙한 최초 유럽 도시였던 러시아 모스크바에선 1830년 감염자 사망률이 50%를...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351317659&qb=7L2c66CI6528IDE4MjA=&enc=utf8§ion=kin.qna&rank=1&search_sort=0&spq=0
... 「아시아형 콜레라 Asiatic cholera」에도 잘 나타나 있다. 1819년엔 동쪽으로도 그 유행이 퍼져 나가기 시작하여 미얀마 및 인도차이나에 퍼지고 그 해 5월에는 말라카반도에 침입하였으며, 이듬해인 1820년 자바 등 남양제도에...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001&docId=348200174&qb=7L2c66CI6528IDE4MjA=&enc=utf8§ion=kin.qna&rank=2&search_sort=0&spq=0
... 1720년대엔 흑사병(페스트), 1820년대엔 콜레라, 1920년대엔 스페인독감 ..... 그리고 2020년엔 코로나..항상 nn20년대에 전염병이 돌고 사람들이 많이 죽었습니다. ...이거뭔가요? 무슨 연관이 있고 왜 20년대에 이러는걸까요 뭐..이게...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8&dirId=80101&docId=351022721&qb=7L2c66CI6528IDE4MjA=&enc=utf8§ion=kin.qna&rank=3&search_sort=0&spq=0
... 콜카타에 있던 영국 군인 5000명을 1주일 만에 몰살시킨 콜레라는 1819년에는 유럽에, 1820년엔 중국에 상륙해 많은 사망자를 냈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었다. 조선시대 듣도 보도 못한 새로운 전염병인 ‘콜레라’가 창궐하며 수...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7&dirId=70113&docId=345620311&qb=7L2c66CI6528IDE4MjA=&enc=utf8§ion=kin.qna&rank=4&search_sort=0&spq=0
질문이요 요즘 우한폐렴 가지고 난리인데 1720 흑사병 1820 콜레라 1920 스페인독감 2020 ?? 불길하네요 ㅠㅠ 혹시 뭔일일어나는거아니죠? 걱정말고 피방에서 솔랭이니 돌리소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13&dirId=130104&docId=108013876&qb=7L2c66CI6528IDE4MjA=&enc=utf8§ion=kin.qna&rank=5&search_sort=0&spq=0
... 1879년 닭콜레라의 독력을 약화한 배양균을 닭에 주사하고 면역이 된다는 것을 발견, E.제너 이래 과제로 남았던... 1820년 당시 영국의 템즈 강이 오수로 흘러 넘쳐지만 런던의 상인들은 강물을 식수로 판매할 정도로 질병의 원인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081&aid=0003099076
역사적으로 보면 1720년에 흑사병, 1820년에 콜레라, 1920년에 스페인 독감 그리고 2020년에 코로나 바이러스라는 100년 주기의 전염병의 세계적 유행을 뜻하는 팬데믹 상황을 정리해서 예견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간의 수명이...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52151
중세시대 페스트를 거치면서 르네상스와 1차 산업혁명 시발점이 되었고 1820년대 콜레라가 창궐했을 때에 상하수도와 공중보건체계를 수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번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전 국민의 인식 체계에 많은...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9&aid=0004576307
나이팅게일(1820~1910)이 오늘날 살아 있었다면 코로나에 어떻게 대처했을까요. 영국 가디언지는 지난 5일... 전사자 수보다 콜레라, 발진티푸스, 이질 등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더 많았습니다. '위생'에 문제가 있다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0&oid=469&aid=0000496106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820~1910)은 크림전쟁(1853.10~1856.3) 전장에서 영국 정부가 파견한 간호부대를 이끌며... 그는 1844년 어머니가 숨진 뒤 보건소를 이어받았고, 1850년 자메이카를 강타한 콜레라 사태 등을 겪어냈다....
http://www.ajunews.com/view/20200425084142481
콜레라는 인도의 풍토병이었다가 1817년 콜카타에서 발병해 전세계를 휩쓸었다. 콜카타에 주둔하던 영국 군인 5000명이 1주일 만에 몰살을 당했다. 1819년 유럽, 1820년 중국에 상륙했다. 이것이 한 해 뒤인 1821년 조선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