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m 이상 # 주차대수 규모가 50대 이상인 경우의 경사로는 너비 6m 이상인 2차로를 확보하거나 진입차로와 진출차로를 분리 ② 곡선 경사로 굴곡부의 내변 반경 : 6.0m 이상 - 같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주차장의... 
- 직각주차,평행주차 배치의 사례 ■ 지하식,건축물식 및 자동차용 승강기로 주차하는 노외주차장의 차로 1.차로의 높이 : 주차바닥 면으로부터 2.3m이상 2.굴곡부의 내변반경 : 5m이상 3.경사로의 차로너비... 
- 17 개정공포) 이륜자동차 주차장 설치기준도 금번 시행규칙 개정(안)에 포함하여 별도로 정하였다. * 주차단위구획(1.0m×2.3m), 차로너비(2.25m~4.0m), 내변반경(3m) 등 이륜자동차는 왜? 지금까지는, 이륜자동차의... 
- 곡선 부분은 자동차가 6미터(같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주차장의 총주차대수가 50대 이하인 경우에는 5미터, 이륜자동차전용 노외주차장의 경우에는 3미터)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 
								
	 
- 이륜자동차 주차장 설치기준 마련 (안 제3조1항, 제6조1항2호, 3호, 5호) - 이륜자동차의 주차단위구획을 규정하고 (안 제3조1항) , 전용 주차장의 출구, 차로너비, 내변반경 등을 규정하여 이용자의 편의 및... 
- ... 자동차가 경사로(ramp)를 이용하여 지하 또는 지상으로 이동할시 직선경사로는 문제가 되지않으나 원형의 경사로가 문제가 되는데, 이때 적정 회전반경이 확보되어야하고, 기억하기로 주차장법에서 내변반경은 5m로 규정하는것으로... 
- ... 말씀하시는 반경 5M의 회전반경은 "경사로"일 경우에 적용되는 규정입니다~~^^* 지상 자주식 주차장의 경우는 직각이 되어도 상관없습니다~~^^* 주차구획과 접한 차로의 너비는 "6M"이상 확보되어야 합니다~~^^* 
- 지하주차장 램프에서는 내변반경이 6미터 이상인 것은 법에 나와있어서 잘 알겠는데요 램프 말고 지하주차장 내부차로에서도 내변반경이 6미터 이상이 나와야 하는 것인지 궁금하네요. 아니라면 최소반경이 몇인지 부탁드립니다.... 
- 주차장법 시행규칙에 나오는 경사로에 관한 규정중 '굴곡부는 자동차가 5미터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조항에서 내변반경을 산정할때 연석을 포함하여야하는지 아니면 차량통행의 유효폭으로 할수도... 
- ... 곡선 부분은 자동차가 6미터(같은 경사로를 이용하는 주차장의 총주차대수가 50대 이하인 경우에는 5미터, 이륜자동차전용 노외주차장의 경우에는 3미터) 이상의 내변반경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 경사로의 차로... 
- 이 전문가들은 또 "최종 설계변경도면을 확인하지 않았지만 어떤 방식으로 설계변경이 됐을지 의구심이 든다"며 "주차장법에서 말하는 회전반경(파란색 점선)은 주차선에서 내변으로 6m 뒤(위 사진 파란색 점선 원형 참조)... 
- 주차장 내 차로는 2.25m, 곡선부분을 안전하게 돌기 위한 내변반경은 3m를 확보하도록 했다. 이는 이륜차 주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륜차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난1월 ‘주차장법’을 개정 공포한 데 이은... 
- 주차장 내 차로는 2.25m, 곡선부분을 안전하게 돌기 위한 내변반경은 3m를 확보하도록 했다. 이는 이륜차 주차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륜차 주차장을 설치할 수 있도록 지난1월 '주차장법'을 개정 공포한 데 이은 후속... 
- 주차장 내 차로는 2.25m, 곡선부분을 안전하게 돌기 위한 내변반경은 3m를 확보하도록 했다. 또 기계식주차장치 관련 규정도 생긴다. 기계식 주차장치 보수업 등록·변경 신고 기한을 정하고, 등록 수수료를 합리화한다.... 
- 개정안은 주차단위구획(1.0m×2.3m)과 차로너비(2.25m~4.0m), 내변반경(3m) 등을 규정했다. 개정안은 또 기계식주차장치 보수업의 등록사항 변경 신고 기한을 규정하는 내용 등도 포함했다. 국토부는 이 개정안을 법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