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와 지연발급, 미발급 가산세 알아보기 부가가치세가 과세되는 재화나 용역을 거래하는 경우 그에 대한 증빙으로 세금계산서를 발급하거나 수취하게 됩니다. 세금계산서는... 
- 오늘은 전자세금계산서 가산세 종류(지연발급 등)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자세금계산서란?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판매할 시 구매하는 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였다는 거래 사실을... 
- 별도의 가산세는 없습니다.) 3. 전자세금계산서 지연 발급 가산세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기가 지난 후... 전자세금계산서 가산세(미발급, 지연 발급, 종이 발급) 이상 전자세금계산서의 미발급, 지연 발급, 종이...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와 지연발급, 미발급 가산세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전자세금계산서 연동 팝빌 입니다. 12월 10일은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마감일이었는데요~ 팝빌 고객센터로 접수된 문의 중에... 
- 
								
	 
- 세금계산서 발급명세를 국세청장에게 전송하여야 합니다. 의무 불이행으로 인한 불이익(가산세)... 5% 종이발급 발급시기에 전자세금계산서 외의 세금계산서 발급 1% 전송 지연전송 발급일의 다은 날이... 
- ... 단, 발급위반(미발급, 지연발급 등)에 대한 가산세가 적용되는 경우에는 전송위반(미전송, 지연전송)에 대한 가산세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귀사는 4월 거래분의 전자세금계산서는 공급시기 또는 5월 10일까지 발행을... 
- ... 세금계산서 가산세 적용에서 지연발급가산세와 지연전송가산세의 차이가 뭘까요..ㅜ? 가산세 내용이 이해하기가... 세금계산서 발급일은 전자서명을 완료한 전자세금계산서 파일이 공급받는 자가 지정한 수신함에 도달에 수신된... 
- ... 매출자 입장에서도 전자계산서 의무자가 아니라면 종이계산서를 발급하는게 더 나은거구요? 안녕하세요. 밤이슬이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는 지연발행시 질문인이 아시는 것처럼 공급자나 공급받는자에게 가산세의 부담이 있습니다.... 
- ...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 지연수취 가산세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 이후에 발급받은 세금계산서로서 그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에 대한 확정신고 기한까지 발급받은 경우 공제 받은 매입세액에 대해서 공급가액의... 
- ... 안녕하세요 세금계산서 지연발급가산세는 세무서에서 고지하는 것이 아닙니다 2018.1기 확정분에 대한 7.25 부가세시에 신고서식에 가산세를 반영하여 납부할 부가세와 합쳐서 납부하는 것입니다 답변내용이 도움이 되시기를... 
- 개정 전에는 과세기간 말의 다음달 11일부터 과세표준확정신고기한(25일)사이에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및 전송하는 경우, 지연발급가산세(1%)와 지연전송가산세가 동시에 부과됐는데, 개정으로 인해 지연발급가산세만... 
- 전송일자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에만 적용되는 개념으로 전자세금계산서를 국세청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대해서는 지연발급으로 볼 수 있고 세금계산서 부실기재 가산세 대상이 될 수 있다. 2. 고정거래처가 아닌... 
- 납세자 권리보호 및 납세편의 제고 □ 납부불성실가산세율 인하(국기령§27의4) ※ 「'18년 세법개정안」기... 선불전자지급수단(예: 제로페이 등) 영수증 추가 □ 지연수취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공제 허용 범위 확대... 
- 5%, (전자세금계산서발급명세 전송불성실가산세) 공급과세기간말의 다음달 11일까지 전송 → 공급과세기간 확정신고기한까지 전송, (지연전송가산세) 공급가액×0.5% → 0.3%, 미전송 = 공급가액 × 1% → 0.5... 
- 공급시기 이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으나 실제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의 확정신고기한 다음날부터... 지연수취 가산세는 부과된다. 대손세액공제 사유에 회생계획인가결정에 따라 채권을 출자전환하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