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금계산서 지연발급에 따른 가산세 부과기준을 보면 재화 용역서비스를 제공받은 날의 익월 10일까지 발급하지 않을 경우 공급자에게 1%의 가산세가 발생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용역계약의 경우 월초에서... 
- 별도의 가산세는 없습니다.) 3. 전자세금계산서 지연 발급 가산세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기가 지난 후... 전자세금계산서 가산세(미발급, 지연 발급, 종이 발급) 이상 전자세금계산서의 미발급, 지연 발급, 종이... 
- 오늘은 전자세금계산서 가산세 종류(지연발급 등)에 대해 설명해드리겠습니다! 먼저, 전자세금계산서란?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판매할 시 구매하는 자로부터 부가가치세를 징수하였다는 거래 사실을... 
- ②,③의 세금계산서를 모두 2,000,000원을 지연발급 가산세 대상으로 보아야 하는지, 1개의 발생사건으로 보아 1,000,000원을 지연발급 가산세 대상으로 보아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387) 답변) 위... 
- 
								
	 
-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의무와 지연발급, 미발급 가산세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전자세금계산서 연동 팝빌 입니다. 12월 10일은 전자세금계산서 발행마감일이었는데요~ 팝빌 고객센터로 접수된 문의 중에... 
- 부가가치세법의 세금계산서 지연발급, 미발급 가산세는 확정신고에만 적용되나요? 안녕하세요. 전자세금계산서 미발급은 발급시기가 지난 후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에 대한 확정신고 기한내에 발급 하지 않은 경우이며... 
- ... 세금계산서 가산세 적용에서 지연발급가산세와 지연전송가산세의 차이가 뭘까요..ㅜ? 가산세 내용이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세무사회-네이버지식iN 전문세무상담 세무사 큰산세무회계 이래현입니다. 1. 세금계산서... 
- ... 부가가치세법상 세금계산서 지연수취 가산세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시기 이후에 발급받은 세금계산서로서 그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에 대한 확정신고 기한까지 발급받은 경우 공제 받은 매입세액에 대해서 공급가액의... 
- 과세기간이 지나서 뒤늦게 발급한 세금계산서는 매출자와 매입자에게 각각 어떤불이익을 줄까여? 가산세...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급시기 이후부터 공급일 속하는 과세기간 의 확정신고일 까지 발급하는 경우는 지연발급(가산세 1%)이고... 
- ... 안녕하세요 지식인 전문상담위원 서진우세무사입니다 세금계산서는 공급시기가 속하는 달의 다음달 10일까지 발행하셔야 합니다 이 날을 넘기셨다면 지연발급 가산세 1% 입니다 
- 이로서 유사한 목적인 매출처별세금계산서 합계표 지연발급(0.3%) 및 미발급 가산세(0.5%)와 세율이 같아졌다. 아울러 일부 가산세가 중복 적용되는 걸 배제했다. 개정 전에는 과세기간 말의 다음달 11일부터... 
- 예를 들어 5~6월 거래분을 1장으로 하여 7월 10일에 발행한 경우 5월분에 대해서는 지연발급으로 볼 수 있고 세금계산서 부실기재 가산세 대상이 될 수 있다. 2. 고정거래처가 아닌 경우에도 월합세금계산서 발행은... 
- 납세자 권리보호 및 납세편의 제고 □ 납부불성실가산세율 인하(국기령§27의4) ※ 「'18년 세법개정안」기... 확정신고기한까지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은 경우 매입세액공제 가능 ㅇ (개 정) 공급시기가 속하는... 
- 5%, (전자세금계산서발급명세 전송불성실가산세) 공급과세기간말의 다음달 11일까지 전송 → 공급과세기간 확정신고기한까지 전송, (지연전송가산세) 공급가액×0.5% → 0.3%, 미전송 = 공급가액 × 1% → 0.5... 
- 공급시기 이후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았으나 실제 공급시기가 속하는 과세기간의 확정신고기한 다음날부터... 지연수취 가산세는 부과된다. 대손세액공제 사유에 회생계획인가결정에 따라 채권을 출자전환하는 경우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