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에 가장 기본은, 우리말 어순에 맞고 문법에 어긋남이 없느냐(통사적), 있느냐(비통사적) 이것이고. : 그러니 형태소, 품사, 문장성분에 관한 전반적인 이해가 있어야 하고요. 그... 
- 이번에는 합성어 공부 심화편입니다:) 통사적 합성어 / 비통사적 합성어를 기억하나요? 지난 수업 시간에 열심히 학습했던 개념을 다시 가져왔어요. "통사적 합성어" "비통사적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란 문장에서... 
- 지금까지 통사적합성어와 비통사적합성어릐 개념에 대해서 정리해 보는 시간을 가졌는데요! 통사적, 비통사적이라는 용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실 뒤에 나오는 파트인 통사론의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 
- 통사적 합성어 : 비통사적 합성어 외 나머지에 해당되는 모든 것입니다. 비통사적일 때와는 다르게 일반적인 단어 배열법에 들어맞는 합성어로써 명사+명사 결합 : 차례차례, 종이호랑이 등 관형사+명사... 
- 
								
	 
- 오늘 우리가 배울 내용은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야. 사실 내가 이 부분을 공부할 때 좀 헷갈려서 열심히 공부했거든~~ 그래서 이번엔 같이 이 부분을 공부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이런 시간을 마련해... 
- 너네들은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해 알고 있니? 아마 대부분이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에 대해서는 어느정도 알고 있는데 이 둘의 정확한 구분법에 대해서는 잘 모를것 이라고 생각해.... 
- 넓적다리 동사+명사 비통사적 합성어 맞나요? 비통사적 합성어 맞긴한데 동사가 아니라 형용사입니다. 넓적하다 + 다리 그래서 관형형 넓적한 다리 이렇게 되어야 통사적인데 어간만 갖다 써서 넓적 + 다리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 비통사적 합성어에는 '용언 어간+체언', '부사+체언', '용언어간+용언' 이렇게 세가지 경우가 있다고 배웠는데 등산은 무슨 경우인가요/???  비통사적 합성어의 기준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① 용언과 체언이 결합될 때 관형사형... 
- ... 저는 비통사적 합성어 같은데...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 중 어디에 속하나요?? 제 의견을 틀렸을 수 있습니다. 고견 부탁드려요. 우선 '띄어쓰기'라는 말이 합성어인지 파생어인지 판단해야 하는데, 이게 좀 복잡합니다. 먼저... 
- 오르내리다가 비통사적 합성어인건 알겠는데 오르내리-에다가 접사 어미가 붙은거니까 파생어인가요? 네비통입니다. 동사동사연결될때 연결어미 있으면ㅡ통사작합성어,없으면 ㅡ비통사적합성어 채택부탁해요 
- 쓰디쓰다를 쓰고+쓰다로 봐서 용언 어간+용언 어간이고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생각해도되나요? 높푸르다처럼요!  '-디'가 구에서는 쓰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비통사적 합성어이고 '-디'의 성격을 어미로 본다면 통사적 합성어로도 볼 수... 
- ... 단어의 형성에서 용언의 어간과 어간이 결합할 때 그 중간에 아/어/오/우 등이 삽입되면 통사적 합성어, 어간과 어간이 직접 결합하면 비통사적 합성어입니다. 들어가다 : 들(다)+어+가다 = 통사적 합성어 잡아먹다 : 잡(다)+아+먹다... 
- 연결형) + 보다 → 용언과 용언이 연결 어미로 결합 일몰(日沒) = 일(日) + 몰(沒) → '해가 지다'라는 주어+서술어 순서로 결합 그렇다면, 우리말의 통사적 구성 방법을 거스르는 '비통사적 합성어'는 어떤 양상들이 있을까요? 
- 13, 14, 15번은 음운 변동, 안은 / 안긴문장 및 문장성분, 비통사적 합성어 문제가 출제되었는데 세 문항 모두 <보기>에 개념 설명이 부족한 유형들이었다. 따라서 고전 문법을 포함한 문법에 대한 체계적 정리가 필수가 된... 
- 그런데 음운현상을 다루고 있는 13번, 문장성분과 비통사적 합성어의 기본 개념을 묻고 있는 14, 15번 문항들도 평소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철저하게 하는 ‘기본에 충실한 공부’를 했더라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 그런데 음운현상을 다루고 있는 13번, 문장성분과 비통사적 합성어의 기본 개념을 묻고 있는 14, 15번 문항들도 평소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철저하게 하는 '기본에 충실한 공부'를 했더라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 (1) 문법 영역 : 통사적 합성어와 비통사적 합성어의 구별, 동사의 판별, 주격조사와 부사격 조사의 구별 등이 출제 되었다. (2) 어문 규정 및 정서법 : 띄어쓰기를 포함한 한글 맞춤법 문제가 출제되었으며, 적절한 높임... 
- 단어의 형성(파생/합성) - 합성어 = 어근 + 어근 통사적 합성(문법적으로 합성 과정에 무리 없음 조사 생략은 문법적 이상이 없는 것임) 비통사적 합성(전성 어미 없이 합성 / 연결 어미 없이 합성 / 부사가 체언수식 / 어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