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문을 잘못읽어서 틀렸지만 모르는 사자성어 인간(人間)에서 ‘인(人)’은 어근이지만 한국인(韓國人)서 ‘인(人)’은 접미사 우정(友情)은 비자립적 어근인 友(벗 우)와 단어 情(뜻 정)으로 구성...
'합성어'란 '둘 이상의 어근'이 '합쳐쳐' 만들어진 '하나의 단어'를 뜻해. 예를 들어, 남녀, 국밥, 밤낮... 명사+명사: 장닭, 치맛바람, 하룻강아지 등 부사+명사: 산들바람, 척척박사 등 비자립적 어근+명사: 보슬비...
'보슬비'는 비자립적 어근과 명사가 결합된거랍니다. 자립성이 없는 어근이 바로 명사를 꾸며줬습니다. 배고프니까 먹을 걸로 예시를 하나 들자면 '덮밥' 있습니다...(배고프다) 그럼 구성 방식에 맞지 않은...
요소 : 어근과 접사 어근 : 단어의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 접사 : 어근에 붙어 어근에 특정한... 어간), (비자립적 어근 + 명사) 개기월식은 태양과 지구, 달이 일직선이 될 때 지구 그림자 속으로 달이...
-
그런데 어근 '보슬'은 단독으로 쓸 수 없다(비자립적 어근). 복잡했으나 우리는 이 내용을 보통은 보슬비는 보슬(부사)+비(명사) 구성이라 부사가 명사를 꾸며주는 것은 통사적이지 않아서 비통사적 합성어라고...
비자립적인 어근이라 하더라도, 독립성이 분명하고 여러 어근과 다양하게 결합하여 사용하는 '-하다', '-없다'와 결합함으로써 의미를 알기 쉽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때는 원형을 밝혀 적는 것이 의미를 알기...
... 그럼 유일형태소가 아닌 비자립적 어근의 예로 뭐가 있나요? "특이형태소"라는 용어에 '특이'가 쓰였죠? 쉽게 말해서 특이하다고 보면 됩니다. 몇몇 어근하고만 결합해서 쓰이기 때문에 이름을 이렇게 붙인 것입니다. "비자립적 어근...
... '대'가 문중에서 큰 문이라는 뜻으로 문의 의미를 한정하고 혼자서 못쓰는건 접사랑 똑같은데 왜 접사가 아니라 비자립적어근으로 구분하는지 모르겠어요 접사 '늦-' 접사 '늦-'과 형용사 '늦다'의 의미가 같은 점은 접사 '늦-'의 존재에...
접사와 비자립적 어근의 차이점이 뭔가요?.. 둘다 어근에 붙어서 특정한 뜻을 덧붙이는 의존 형태소인거 같은데 어느 부분에서 구분되는지 모르겠어요..ㅜㅜ 의존형태소라는 것 말고는 많이 다릅니다. 우선 비자립적 어근과 접사는 파생어...
비자립적어근이 뭔가요? 예시도 들어주세요 국어 문장에서 홀로 쓸 수 없는 어근입니다.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는 있지만 홀로 쓸 수 없습니다. '위, 당, 착, 아름' 등의 단어들이 있습니다. 이것들은 조사를 붙여서 사용할 수 있는 말도...
비자립적 어근의 개념이 잘 안 잡혀있는데요.. 질문 1) '아름'의 품사가 따로 없어서 비자립적 어근인가요? 질문 2) '읽다'의 '읽' 이런 것도 비자립적 어근인가요? 질문 3) 의존 명사도 비자립적 어근인가요? 1. 어근은 어근인데, 홀로 쓸 수...
‘단어+비자립적 어근’ 구조로 된 단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답변드리겠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문법 개론서에서 예를 가지고 왔어요 [출처: 우리말 문법 총론_구본관 외] 장산곶, 배꼽, 미나리꽝, 몸살 '곶, 꼽, 꽝, 살'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