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생물학을 공부하고 있는데 암피실린 내성 플라스미드가 들어간 대장균이 암피실린 배지에 배양됐을 때 어떻게 해서 암피실린을 분해하는지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플라스미드에 암피실린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 그러면, LB-agar 배지에 ampicillin을 넣어서 길러주면, 살아남아서 colony를 이루는 대장균은 transformation된 대장균들이겠죠. 그러니까 colony를 이루는 대장균들은 다 plasmid를 지닌다고 볼 수 있는 거죠....
... 저의 짧은 지식으로는, 대장균의 펩티도 글리칸 층을 합성저해 하여 새롭게 만든 디엔에이를 밖으로 빼내기 위함이라고 생각했는데 ,이건 아니라고 하네요. 정확한 답과 이에 관련된 서적이나 추천좀해주세요-ㅋ...
... 형질전화이 되지 않은 대장균과 재조합 플라스미드가 삽입된 형질전환된 대장균을 구별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여라.(참고, LB배지: 정상적인 대장균 생육배지, LB+ampicillin: ampicllin이 첨가된 LB배지) 이거...
-
인슐린을 만드는 대장균 유전자 재조합 문제인데요... 제한 효소로 유전자를 잘라서 lacz를 못쓰게 만들고... 살려주세요 orz ampicillin, lacZ 둘다 transformation이 잘 됐는지 선별하기 위한 방법 아닌가요? ampicillin이야...
특히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은 내성이 91.6%에 달해 가장 높았으며, 암피실린(ampicillin.77.3%)과 세파로신(cephalothin.61.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장균 사이에서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에 대한 내성은...
‘암피실린(ampicillin)’이 지목됐다.김 교수 연구팀이 마우스 모델에서 TNBS로 인한 대장염을 유발시켰을 때, 질병 유발 마우스는 단순히 대장염이 아니라 인지 기능도 같이 손상됐다. 실험 1주일 후 장내는 대장균(E.coli)...
50년 전만해도 이콜라이(E.Coli) 대장균은 암피실린(Ampicillin, 1세대 페니실린) 계열의 항생제가 충분한 감수성을 갖추고 있어 문제가 해결됐다. 그런데 1980년대에 들어서는 이미 해당균의 1/3 정도가 내성을 보였고, 지금은...
특히 에리트로마이신(erythromycin)은 내성이 91.6%에 달해 가장 높았으며, 암피실린(ampicillin·77.3%)과 세파로신(cephalothin·61.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장균 사이에서 시프로플록사신(ciprofloxacin)에 대한 내성은...
이용해 대장균(E. coli), 장알균(Enterococcus),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 등의 13종의 균을 분리할 예정이다.... 암피실린(Ampicillin), 세폭시틴(Cefoxitin), 클로람페니콜(Chloramphenicol) 등의 20여 종의 항생제에 대해 감수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