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용보험 상실사유 코드는 크게 대분류 4개에요 1) 자진퇴사 2) 회사사정/근로자 귀책사유로 인한 권고사직 2) 정년 등 기간만료에의한 이직 4) 기타 이렇게요 우선 상실사유코드 1로 시작하는 자진퇴사를... 
- * 상실시기 ** 아래 사유가 발생한 날의 다음 날 = 퇴사(퇴직)한 경우 = 사망한 경우 ** 아래 해당사유가 발생한 날 = 고용보험 적용 제외근로자에 해당하게 된 경우 = 고용보험이 적용되는 사업의 보험관계가... 
- 2018.11.13.(화) 머니투데이 「퇴사·이직 다반사 ‘설계사 고용보험’의 함정」 기사 관련 설명입니다.... 보험설계사들의 소득은 수수료에 의존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높고, 본인의 책임이 아닌 사유로 소득이... 
- 2017년 12월 말일로 퇴사한 나에게 1월, 2월에 후두두 쏟아지기 시작한 우편물들은 대부분 '고용보험... 후에는 '고용보험 피보험자격 취득'통지서를 받았었겠지? 피보험자인 나의 개인 정보와 상실 날짜, 사유... 
- 
								
	 
- 고용노동부장관의 안전보건상의 시정명령을 받고도 시정기간까지 시정하지 아니하여 같은 재해 위험에 노출된 경우 9. 체력의 부족, 심신장애, 질병, 부상, 시력·청력·촉각의 감퇴 등으로 피보험자가... 
- ... 휴 그것보다도 퇴직시 면담을 할때 회사에서는 고용보험을 탈수있게 해주겟다고 말을 햇습니다. 그걸... 관할 고용센터에서 최종 결정하므로 귀하의 퇴사사유에 대한 정확한 정당성 여부를 확인받고자 한다면 병원 진단서를 가지고... 
- 8월11일 자로 어머님께서 퇴사처리가 되셨는데 고용보험상실사유에 자진퇴사로 기재가 되었어요. 동생이사고를당해 사망을 하여 충격으로 그만두신건데.. 혹시 상실사유 정정신고가 가능한지 사업장에 물어보니 과태료는 둘째치고... 
- ... 저는 한국에 4대 보험이 적용 되는 상황이라 퇴사 시 권고사직으로 처리하여 귀국 후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퇴사사유의 정정의 경우 고용센터에 문의하여 본인의 퇴사사유 정정을 확인받을 수 있습니다. 
- ... 실업급여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실업급여는 최종이직일 전 18개월 중 고용보험 가입기간이 180일 이상을 충족하고 최종 사업장의 퇴직사유가 회사의 도산, 경영상 해고, 권고사직, 계약만료 등 비자발적인 퇴사(본인의 중대한... 
- ... 보니까 고용보험 상실확인서애 개인사유로 퇴사라고 되있더라구요 이거 어떻게 해야 정정할수 있을까요 회사에서는 안해줄거같아요  질문하신 경우에는 퇴사사유가 개인사유로 신고되었다 하더라도 불가피한 사유로 인정받을 수가... 
- 물론 고용보험법에서 비자발적인 퇴사를 한 경우 실업급여(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게 규정하고 있고... 근로기준법 제36조에서 "사용자는 근로자가 사망 또는 퇴직한 경우에는 그 지급 사유가 발생한 때부터 14일 이내에... 
- 지원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지원기간 중 기존 근로자 또는 지원대상 청년이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 사유로 퇴사했을 경우에는 추가 채용을 통해 기업 전체 근로자수를 증가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아울러 고용보험법... 
- 서류(고용보험법 제16조)를 뜻합니다. 사업주는 피보험자가 퇴사한 경우 그 사유가 발생한 날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15일까지 피보험자격상실신고를 해야 하며, 또한 근로자가 실업급여 수급자격 신청을 희망하는 경우에... 
- 실업급여는 고용보험에 180일 이상 가입한 노동자가 해고 등 원하지 않는 사유로 퇴사한 경우, 일정기간 동안 실직자 및 그 가족의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실직자의 재취업을 촉진하기 의해 지급하는 제도이다.... 
- 다만 사업장 이전에 따른 근로자 퇴직은 고용보험 퇴사신고 시 퇴사사유가 '개인사정'으로 접수되기 때문에 신청인이 사업장 이전으로 출퇴근이 어려워 퇴사했다는 점을 인터넷 포털 사이트 지도 등을 이용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