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고시 제2020-120호,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지정 고시》 바로 이 모전들소리가 이번에 경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이 됐다는 좋은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반가움에 눈과 귀가 뜨이는 소식이네요 >.< 자세히... 
- 종 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4호 명 칭 포항 궁시장 (浦項 弓矢匠) 분 류무형문화재 / 전통기술 / 공예 수량/면적개인지정일 2018.10.18 소 재 지 경상북도 포항시 시 대 대한민국 소유자 김병욱 관리자 김병욱... 
- 있는 경상북도 문경지역 유일한 전통 농요이기도 합니다... 올해 무형문화재 심사를 받은 팀인 만큼 경상북도 무형문화재로 등재되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식전 공연을 시작으로 3시간여 동안 진행된... 
- 모전들소리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46호지정 문경여행 #문경시 는 #문경 #모전들소리 가 경상북도... 이로서 #문경시 는 도무형문화재 9개,국가무형문재 2개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 
								
	 
- 경상북도 고시 제2020-120호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지정 고시》 요새 글 올릴 시간이 없어서 이제서야... #모전들소리 #경상북도무형문화재 #문경문화재 #축하합니다 #모전들소리문화제지정 #문경 #모전동... 
- 4학년 경상북도 유형 무형문화재 답사 조사해오기 부탁드려요 ㅠ 1.봉정사 극락전 종 목 국보 제15호 지 정 일 1962.12.20 소 재 지 경북 안동시 서후면 태장리 901 봉정사 시 대 고려시대 천등산 기슭에 있는 봉정사는 신문왕 2년(682)... 
- ... 5.가야금병창 종 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지 정 일 1991.11.23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양정로37번길 8 (인왕동 674-11) 기예능보유자 장순애 가야금병창은 직접 가야금을 타면서 노래부르는 것을 가리킨다. 단가나 판소리 중 한... 
- ... 5.가야금병창 종 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19호 지 정 일 1991.11.23 소 재 지 경상북도 경주시 양정로37번길 8 (인왕동 674-11) 기예능보유자 장순애 가야금병창은 직접 가야금을 타면서 노래부르는 것을 가리킨다. 단가나 판소리 중 한... 
- ... 5.영해별신굿놀이 종 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 지 정 일 1980.12.30 별신굿이란 3년이나 5년 혹은 10년마다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굿이다. 고대에는 부여의 영고·고구려의 동맹과 같이 국가에서... 
- ... 5.영해별신굿놀이 종 목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제3호 지 정 일 1980.12.30 별신굿이란 3년이나 5년 혹은 10년마다 마을의 수호신에게 마을의 평화와 풍년을 기원하는 굿이다. 고대에는 부여의 영고·고구려의 동맹과 같이 국가에서... 
- 이번 마당극 공연은 경상북도와 포항시, 포항향토불교승가연합회, 김지립류 전통춤 보존회, 사단법인 한국춤역사위원회, 안성시무형문화재 제4호 안성경서남도잡가보존회, TBLenglneerlng 의 후원으로 지역문화 활성화에... 
- 경상남도 통영에서는 낙동강 서쪽 지역의 탈춤을 가리키는 ‘제6호 통영오광대’(7월4일, 통영이순신공원 내 통영예능전수관 특설무대, 최소 관객), 사천에서는 ‘제11-1호 진주삼천포농악’(7월19일, 사천무형문화재전수... 
- 경상남도 통영에서는 제6호 통영오광대(7.4/통영이순신공원 내 통영예능전수관 특설무대/최소 관객), 사천에서는 제11-1호 진주삼천포농악(7.19./사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무관객) 공개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전라북도... 
- 경상북도 예천에서는 마을에서 모심기할 때 부르는 제84-2호 예천통명농요(7.5./예천통명농요전수교육관... /사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무관객) 공개행사가 열릴 예정이다. 전라북도 전주에서는  제15호 북청사자놀음(7.... 
- 이후 박송희(1927∼2017) 전 보유자에게 흥보가를 이수했으며 2007년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판소리(흥보가)' 보유자로 인정돼 지역 내 판소리 전승 활동에 힘써 왔다. 또한 장석중(거문고 명인, 외증조부), 장판개(판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