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사슴록변은 두 번째 획을 그을 때 가로로 갈고리를 쳐야 하며, 세 번째 획을 그을 땐 두 획의 교차점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재밌게 그렸던(?) 장이다. 보통 알고 있던 개사슴록변과 모양이 달라서... 
- '낭'이나 '패'나 한결같이 개사슴록(犬)변으로 이뤄졌다. 한자에서 犬변이 들어 있는 글자는 모두... 이것 역시 개사슴록(犬)변이다. 교나 활은 모두 동물 이름이다. 물론 실존하는 것은 아니며 전설상의 동물이다.... 
- 순회 학교에서 1학년 아이들에게 부수와 한자 뜻 연결짓기 활동을 했는데 개사슴록변이 들어간 한자에서 猶(오히려유)를 찾았다. 아이들이 과연 어떻게 연관지을까 했더니 '개가 오히려 사람보다 낫다. 개가... 
- 18 코스 : 원적산생태통로앞 ~ 새사미A ~ 보각사 ~ 함봉산 ~ 장고개 ~ 열우물마을 ~ 벽화거리 ~ 아트센터 ~ 십정공원 함봉산길 함봉산 안내문에 "함(개사슴록 변 + 볼 감) 峰山" 이라 되어 있다. 犭+ 監은 '범의소리 함... 
- 
								
	 
- 狂 개사슴록 변에다 개가 우는 소리 왕을 합친 글자다. 개처럼 왕왕 짖는다고 미칠 광..) 우리의 뇌가 사고하는 시스템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1) 즉각적이고, 감정적이고, 빠르게 반응 2) 곱씹고... 
- 일본어 기초 #일본어한자 쓰기 재방 변과 개사슴록 변 풀초 머리 쓰기 항상 상 배울 학의 갓머리 위 점의 방향 차이 구분하기 
- 한자부수에서 개견을 왼편으로 쓸때 개사슴록변이라고 부수명칭을 쓰기도 하는데 왜 개사슴록변이라고 하나요 개와 사슴이라...무슨 연관이 있죠  그 유래에는 두가지가 있는데요, 한가지는, 개는 애완견, 야생견이 있습니다. 그러나... 
- ... 먼저 변의 개사슴록변은 부수의 이름에 사슴이 들어 있으나 실제 사슴의 뜻은 없고 개와같은 동물을 듯하여 그냥 개견변이라 하기도 합니다 狡 : 개와같은 사귐이란 뜻에서 뜻이 변하여(轉) 교활하다는 뜻 狹 : 먼저 夾(낄협)은 사람(大)... 
- ... 2.안(あん)이 어두우면(暗=어두울 암) 무서워서 CRY(くらい) 예2) 猿 원숭이 원 1.짐승(犭=개사슴록)중 털옷을 차려입은(袁=옷 차려입을 원)것 같은 원숭이이므로 원숭이 원. 2. 빨강머리 앤(えん)처럼 원숭이(猿=원숭이 원) 궁둥이 살... 
- ... 2.안(あん)이 어두우면(暗=어두울 암) 무서워서 CRY(くらい) 예2) 猿 원숭이 원 1.짐승(犭=개사슴록)중 털옷을 차려입은(袁=옷 차려입을 원)것 같은 원숭이이므로 원숭이 원. 2. 빨강머리 앤(えん)처럼 원숭이(猿=원숭이 원) 궁둥이 살... 
- ... 2.안(あん)이 어두우면(暗=어두울 암) 무서워서 CRY(くらい) 예2) 猿 원숭이 원 1.짐승(犭=개사슴록)중 털옷을 차려입은(袁=옷 차려입을 원)것 같은 원숭이이므로 원숭이 원. 2. 빨강머리 앤(えん)처럼 원숭이(猿=원숭이 원) 궁둥이 살... 
- ... 2.안(あん)이 어두우면(暗=어두울 암) 무서워서 CRY(くらい) 예2) 猿 원숭이 원 1.짐승(犭=개사슴록)중 털옷을 차려입은(袁=옷 차려입을 원)것 같은 원숭이이므로 원숭이 원. 2. 빨강머리 앤(えん)처럼 원숭이(猿=원숭이 원) 궁둥이 살... 
- 구는 글자 왼편에 있는 개사슴록 변에 (句)라는 발음이 합쳐져 만들어진 글자다. 같은 개를 뜻하지만 쓰임새는 많이 다르다. 견은 긍정적일 때 사용된다. 충견(忠犬), 애완견(愛玩犬) 그리고 주인을 위해 충성을 다하겠다는... 
- 원래 장산마을의 지명은 마을 뒤쪽의 산이 노루가 누워 있는 형상이라 노루 장(獐)의 장산(獐山)이었는데 조선 성종 때 천산재 허천수의 문장이 너무나 뛰어나 마을 지명이 노루 ‘獐’(장)에서 개사슴록변이 떨어져... 
- ‘견’의 변형인 개사슴록(犭)변은 개 같은 무서운 짐승을 가리키는 한자에 주로 붙는다. ‘견’이 춘추시대(BC 770∼BC 403년) 이전부터 사용된 데 비해, ‘구’는 전국시대(BC 403∼221년) 이후에 발견된다. 오경의 하나인... 
- 12년만의 '후년마월'인 음력 5월에 중국인들 소원 성취 기대  중국에서 '기약없이 요원하다'는 의미를 가진 '후년마월'(후<개사슴록 변에 제후 후(侯)>年馬月)이 실제 올해 도래하면서 중국인들이 기대에 부풀어있다고... 
- 한자로 ‘미칠 광(狂)’자는 개나 짐승을 뜻하는 ‘개사슴록( )변’에 ‘임금 왕(王)’자를 쓴다. 그러니 미친다는 것은 입에 거품 물고 서로 잡아먹으려 드는 것들 중에서도 제일 독한 놈에 빗댄 것이다. ‘죽을 사(死)’는... 
- ‘낭’이나 ‘패’나 다 같이 개사슴록변으로 이루어진 글자다. 낭패는 산해경(山海經)에 나타난 전설상의... 같은 개사슴록변이 달린 동물 이야기로 교활(狡猾)이 있다. 교활이란 보통 간사하고 꾀가 많다는 뜻으로 쓰는...